자동차 경고등 계기판 표시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카카오토크입니다. 오늘은 운전하는 사람들이라면

 

자주 접하게 되는 자동차 계기판의 경고등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평소에 못보면 경고등이 계기판에 뜨면 당황하지 마시고,

 

어떤 증상인지 알아보시고 정비소로 가시면 금새 해결이 되실겁니다.

 

 

 

 

 

1. 브레이크 경고등

 

 

 

이 등은 내 차의 사이드브레이크가 채워져 있을때 뜨는 경고등입니다. 만약 사이드브레이크를

 

풀었음에도 이 경고등이 계속 떠 있는 경우에는 브레이크액이 부족한 경우에 뜨는 경고등이니

 

중요한 경고등이라고 생각하시고 정비소로 가서 점검을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

 

2. ABS 경고등

 

 

 

ABS는 차가 갑작스럽게 급제동을 할때 제동력을 좋게 해주는 안전보조장치입니다. 이 시스템

 

또는 센서에 문제가 생기면 위와 같은 경고등이 계기판에 뜨게 됩니다. ABS시스템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차량은 운행도 가능하고 기본적인 제동이 가능해 그냥 타고 다니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안전장치의 고장이므로 되도록이면 빨리 수리를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3.  TPMS 경고등

 

 

차량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을 경우에 경고등이 뜨게 됩니다.

 

정비소로 가서 타이어 점검을 받아주세요~

 

 

4. 냉각수 수온 경고등

 

 

 

냉각수의 온도가 120 +-3도 이상일때 계기판에 위와 같은 경고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냉각수 수온 경고등이 계기판에 보이면 엔진이 과열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이므로 이 경우 빠르게 차량운행을 멈춰주시고 본네트를 열어서 엔진을 식혀주는게

 

좋습니다.

 

 

 

5. 엔진오일 경고등

 

 

엔진오일이 부족으로 유압이 낮아지게 되면 위와 같은 경고등이 계기판에 나타납니다.

 

엔진오일의 양을 점검해주시고 부족하다면 보충을 해주는게 좋습니다.

 

만약 엔진오일을 보충했는데도 경고등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6. 엔진경고등

 

 

 

계기판에 위와 같은 경고등이 뜰 경우 엔진쪽의 장치들이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자제어 장치나 배기가스제어 또는 각종 센서에 이상이 있을때, 연료공급장치

 

등의 누유나 증발가스 제어장치 부분의 누수 발생시에 위와 같은 경고등이 계기판에

 

뜨게 됩니다. 빨리 정비소에 가서 정비를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이외에 디젤차량에만 있는 경고등도 있고, 특정 차량에만 있는 경고등도 있어

 

그런 경고등은 별도로 차량의 메뉴얼을 보시고 숙지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이상으로 자동차 계기판 경고등 포스팅을 마치도록하겠습니다.

 

 

Posted by 아들하나딸둘
,